전체 글
-
HTTP 웹 기본 지식 02전공 지식/네트워크 2022. 6. 10. 11:12
- 김영한 님의 HTTP 웹 기본 지식을 듣고 정리하고자 쓴 글입니다. 1. HTTP 상태코드 상태코드란, 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의 처리 상태를 응답에서 알려주는 기능. • 1xx (Informational):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중 • 2xx (Successful): 요청 정상 처리 • 3xx (Redirection): 요청을 완료하려면 추가 행동이 필요 • 4xx (Client Error): 클라이언트 오류, 잘못된 문법등으로 서버가 요청을 수행할 수 없음 • 5xx (Server Error): 서버 오류, 서버가 정상 요청을 처리하지 못함 - 2xx (Successful): 요청 정상 처리 200 OK 요청 성공 201 Created 요청 성공해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됨 202 Accepted 요청..
-
HTTP 웹 기본 지식 01전공 지식/네트워크 2022. 6. 9. 14:19
- 김영한 님의 HTTP 웹 기본 지식을 듣고 정리하고자 쓴 글입니다. 1. 인터넷 네트워크 IP(Internet Protocol) 인터넷 프로토콜은 지정한 IP주소에 데이터를 전달한다. 패킷으로 데이터 전달. IP의 한계 비연결성 - 패킷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이어도 패킷을 전송한다는 점. 비 신뢰성 - 중간에 패킷이 사라지거나 순서대로 안오면 답이없음. 프로그램 구분 -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통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둘 이상이면. TCP, UDP IP스택의 7계층이 있는데 응표세전네데물임. 응용, 표현, 세션, 전송, 네트워크, 데이터, 물리 영역. 이렇게 나눠짐. 4계층은 응전네물 이렇게 나눌 수 있음. IP 패킷이 안에 TCP 패킷을 감싸고 있다. 한겹씩 덮어 보내고 받는 쪽에서는..
-
인턴 Day23 (HTTPS 통신을 위한 Tomcat SSL 설정)카테고리 없음 2022. 5. 26. 10:02
0. Day23 https와 http의 차이를 알아보고, https 통신을 위한 ssl 발급 및 적용 1. https VS http https는 http에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 2. SSL 발급 및 톰캣 적용 SSL: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을 공인된 제3자(CA) 업체가 보증해주는 전자화된 문서 1) SSL 발급 과정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였다. 잘 나와있다. https://inpa.tistory.com/entry/TOMCAT-%E2%9A%99%EF%B8%8F-SSL-%EC%84%A4%EC%A0%95-https [TOMCAT] 🐱 SSL 설정 (https) HTTPS 일단 HTTPS, SSL을 왜 사용할까? 링크를 통해 어떠한 사이트에 접속하게된다. 이 사이트가 아무 문제가 없는 사이트라면..
-
인턴 Day22 (웹 서버)인턴일지 2022. 5. 26. 09:50
0. Day22 서버와 관련된 개념들 1. 서버란 요청을 받으면 요청한 프로그램을 보내주는 프로그램 서버개발자: 뭔가 요청되면 그걸 해주는 걸 만드는 사람들 요청 : http 요청 - 4가지 get, post, put, delete 2. 웹서버와 이외의 개념들 웹서버(web Server)란 : 웹서버는 간단히 웹을 서비스하는 컴퓨터라고 할 수 있다. 웹페이지는 HTML이므로 웹서버는 "HTML파일들을 모아놓고 서비스하는 컴퓨터"라고 할 수도 있다. 모든 컴퓨터는 서버가 될 수 있으므로 웹 서버가 될 수도 있지만, 어떤 컴퓨터를 웹 서버로 만드려면 먼저 웹 서버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. 웹 서버 프로그램으로는 PWS, IIS, 아파치 등이 있다. 웹 클라이언트(Web Client)란 : 서버와는 상대되는..
-
인턴 Day21 (배포 관련 개념)인턴일지 2022. 5. 24. 16:12
0. Day21 이번주는 배포 관련해서 배워보려고 한다. 예전에 친구들과 얼렁뚱땅 aws 써서 배포한 경험이 있긴한데 그때는 정말 메뉴얼 대로 어찌저찌 해서 한거라 개념을 몰랐다. 이번에 새로 배우게 되었다. 1. 빌드란 컴파일 : 작성한 소스 코드를 바이너리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.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라 바꿔주는 것. 빌드 : 소스 코드를 실행가능한 소트프웨어 산출물로 만드는 일련의 과정. (JAR, WAR) 빌드 도구: maven, gradle 2. 배포란 작성한 코드를 빌드하고 빌드가 완성된 실행가능한 파일을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환경에 배치하면 배포가 완료 된 것. 빌드를 하고 생성된 jar, war 파일을 was에 올리는 것이 배포. git에 올려두고, 테스트 코드 작성하고 검증 ..
-
인턴 Day20 (검색, 페이징 기능)인턴일지 2022. 5. 24. 15:18
0. Day20 - 배운 것 예전에 datatables로 테이블을 구성하고 검색, 페이징 기능 한번에 처리했는데 시간이 흐를 수록 이걸 쓰면 내가 하고 싶은대로 사이트를 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. 언젠가는 이걸 수정해야지 하고 생각만 하고 있다가 이번에 수정하게 됨. 1. 검색, 페이징 기능 참고 사이트: 11.스프링 게시판 만들기 / 게시판 검색 기능 구현 (tistory.com) 11.스프링 게시판 만들기 / 게시판 검색 기능 구현 11.스프링 게시판 만들기 / 게시판 검색 기능 구현 안녕하세요? MelonPeach입니다. 이전 포스팅에서 페이징 기능을 구현하였는데요. 이번에는 게시판에서 검색 기능을 추가하려고합니다. 1. bo melonpeach.tistory.com 잘 작..
-
인턴 Day19 (REST Api)인턴일지 2022. 5. 24. 15:05
0. Day19 - 배운 것 rest api가 무엇인가? 왜 써야하는가? 어떻게 쓰는가? 요즘 하도 rest api 말하지만 정확하게 무엇인지 몰랐다. 그래서 찾아보았고 api 작성할 때 여러조건이 있지만 post, put, get, delete 이렇게 나눠서 쓰는 것을 배웠다. 그런데 html5는 form에서 put, delete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한다. 대혼란... 그럼 그걸 빼고 설계하면 restful한게 아니지 않은가? 그래서 고민이 많다. 왜 지원하지 않는지도 찾아봐야겠다. 'REST API 설계시 put/delete 사용하나요?' 는 사실 질문이 잘못됐습니다. 저거 사용안하고 행위를 url에 표현하면 그건 그냥 REST API가 아닌거에요. 1. REST가 무엇인가? - Representat..
-
인턴 Day18 (Android, Spring 연동 (retrofit2) / WebView)인턴일지 2022. 5. 13. 17:40
0. Day17 - 배운 것 1. Android, Spring 연동 (retrofit2) 인턴 초기에 만든 웹 사이트를 어플로 만들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코틀린 공부를 짧게 하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했다. 로그인과 회원가입 뷰를 만드는건 어렵지 않았고, 입력받은 로그인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웹서버를 거쳐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retrofit을 사용했다. 1. Android, Spring 연동 (retrofit2) - 참고 사이트 https://koharinn.tistory.com/581 [Spring] Android, Spring 연동 (retrofit2) Retrofit Server와 Client 사이 http 통신을 위한 라이브러리 HttpClient, Volley, Okhttp 등 라이..